어렸을 적의 웹툰 [지금 우리학교는] 이 넷플릭스 시리즈로 돌아왔다.
넷플릭스와 웹툰 상의 이야기가 꽤 다르다.
그래도 잘 다듬었다고 생각이 든다. 드라마로 표현하기 힘든 것들을 과감히 잘 생략하고
캐릭터들을 잘 재현했다고 보는 내내 생각이 들었다.
특히 빌런인 나연과 윤귀남은 원작에서만큼 상당히 불편한 존재로 나타나며
보는 이로 하여금 얼른 그들이 죽기를 바라게 혹은 좀 닥쳤으면 좋겠다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이런 재난 시리즈가 만들어질수록 어떤 행동이 공동체에 해가 되는지 알고 나연이나 귀남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까? 생각을 하게 된다. 많은 이들이 다같이 살려고 노력을 하고 희생을 하지만
어느순간 이기적으로 돌변하게 되는 그 순간들이 저마다 있을 것이다.
크게 봐도 좀비라는 이 비현실적인 변화를 피해자로 볼지 가해자로 볼지
죽여도 된다 판단을 내릴지 죽이면 안된다 판단을 내릴지 등
다양한 딜레마들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보면서 불편을 느끼게 하는 빌런들의 행동을 보고
나는 나중에 저렇게 하지 말아야지 생각을 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
많은 문화권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진상 짓을 하는데 그들은 이런 빌런들을 볼 때
자신의 행동과 비슷하다고 자각을 할 수나 있을까? 궁금하다.
사실 대부분의 악행은 남탓으로부터 시작이 되지 않을까 싶다.
아니면 자존감이 낮아서일 수도 있고
내가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을 사회로 원인으로 돌리며 자신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쉽게 막을 수 없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어떠한 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절반의 사람은 " 내가 뭘 잘못했길래 이렇게 된거지?" 라고 생각하고
나머지 절반은 "이거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길래 이래? " 라고 생각한다.
자신은 어떤 사람인지 한번쯤 생각해볼 수 있으면 좋겠다.
결과에 상처받기 싫은 사람들이 보통 후자를 택할 것 같다.
'내가 본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영화의 배경을 알면 더 몰입해서 볼 수 있는 영화, 히피, 할리우드 (0) | 2022.04.02 |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늙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0) | 2022.03.30 |
무서운 장면 없이 무서운 영화일뻔한 - 컨저링 감상 (0) | 2022.03.22 |
디카프리오가 남우주연상을 받기 위해 영혼을 갈아 넣은 영화 -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0) | 2022.03.16 |
알리타 배틀엔젤의 원작 총몽 - SF를 통해 다룬 사랑의 철학적 접근 (0) | 2022.03.06 |